🛠
준비물 : AWS 계정, SSH 연결 프로그램
시작 전
- 목표 : On-premise DB서버를 AWS의 RDS로 Migration하기
- 여기를 눌러 기본 VPC & EC2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.
- 이 포스팅은 DMS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On-premise to RDS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최소환경으로 구성하였다.
DMS란?
- DMS란? :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DMS를 사용하여 AWS Cloud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, 온-프레미스 인스턴스 간에(AWS 클라우드 설정을 통해) 또는 클라우드와 온-프레미스 설정의 조합 간에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.
- DMS는 Free-Tier를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약간의 과금이 필요하다. (실습만 진행하고 삭제하면 1$ 이내로 가능하다)
- DMS Migration을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기존 DB의 데이터를 새 DB에 옮겨주는 이삿짐 센터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.
시작 전
- 목표 : On-premise DB서버를 AWS의 RDS로 Migration하기
- 여기를 눌러 기본 VPC & EC2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.
- 이 포스팅은 DMS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On-premise to RDS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최소환경으로 구성하였다.
DMS란?
- DMS란? :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DMS를 사용하여 AWS Cloud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, 온-프레미스 인스턴스 간에(AWS 클라우드 설정을 통해) 또는 클라우드와 온-프레미스 설정의 조합 간에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.
- DMS는 Free-Tier를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약간의 과금이 필요하다. (실습만 진행하고 삭제하면 1$ 이내로 가능하다)
- DMS Migration을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기존 DB의 데이터를 새 DB에 옮겨주는 이삿짐 센터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.
과정 : 출처 링크 확인
결론
- DMS를 통해 On-Premise의 MariaDB를 RDS의 MariaDB로 마이그레이션했다.
- DB의 단순 Migration 뿐만 아니라 조건을 주어 원하는 값만 Migration하거나 복제도중 값을 변환하여 Migration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DMS에 대한 사용법을 익혔다.
[출처] https://cloudest.tistory.com/70
'Others > 인프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ElastiCache Redis 생성 및 접속 테스트 절차 (0) | 2022.07.21 |
---|---|
AWS ElasticSearch 구축 및 기초 세팅 (0) | 2021.11.20 |
[letsencrypt] https 인증서 갱신 중에 pip 오류 (0) | 2020.03.24 |
우분투 리눅스 타임존 설정 (ubuntu linux timezone setting) (0) | 2019.11.13 |
우분투(ubuntu) kernel 업그레이드 시 boot 용량 부족, 의존성 문제 (0) | 2019.06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