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직 후, 신입 취준 시 가볍게 설치 후 깨작거리기만 해봤던 워드프레스를 셋팅하게 되었다.
게시물 정도가 올라가는 가벼운 블로그 형태여서 관리자페이지 운영에 편리한 워드프레스를 사용한 것 같았지만, 로컬에 기존 개발 환경을 맞추는 데에 나름 애를 먹었던 한가지를 기록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다.
별거 아닌데 시간을 보낼 수 없고, 나중에 이 글이 나 또는 누군가에 도움이 될지도 모르기에.
보통 APM 프로그램을 통해 워드프레스를 돌렸을 경우에,
APM 구동 후 http://localhost:port/서비스폴더/wp-admin 의 형태로 워드프레스 어드민에 접근하게 된다.
이때 실서버 디비(일반적으로 Mysql)을 덤프해서 로컬에 셋팅했다면,
http://localhost:port/서비스폴더/wp-admin 로 접근했는데
실제 서비스 중인 홈페이지로 '리다이렉트'되는 당황스런 상황을 만날 수 있다.
코드에서 열심히 redirect, 홈페이지 주소를 검색했지만 전혀 연관성 있는 코드는 없었고
구글링 결과 아래 stackoverflow에서 비슷한 경험의 글을 찾았고 도움을 받았다.
물론 이 분은 서비스 홈페이지가 localhost로 리다이렉트되는 반대의 상황이었지만 해결방법은 동일했다.
http://localhost:port/phpmyadmin 으로 접근하여
wp-option 테이블에서 siteurl, home을 로컬에선 로컬주소(http://localhost:port/서비스워드프레스폴더명)에
실서버에선 실서버 주소를 넣어주면 끝!
'Others >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 리눅스에 MongoDB설치와 부팅시 자동실행 (1) | 2019.02.27 |
---|---|
Mongodb 덤프하고 백업하기 (0) | 2019.02.26 |
MySQL덤프 mysqldump (0) | 2019.01.10 |
[mongoDB] 자동 백업 (1) | 2019.01.09 |
Mongoose(몽구스) 스키마(Schema) (0) | 2018.12.21 |